티스토리 뷰
목차
오메가3와 크릴오일, 어떤 걸 먹어야 할까요?
두 제품 모두 혈관 건강과 염증 완화, 두뇌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성분 구조와 흡수율, 가격, 부작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오메가3와 크릴오일의 장단점을 꼼꼼히 비교해 드립니다.

오메가3와 크릴오일 기본 특징
오메가3는 주로 생선 기름에서 추출한 불포화 지방산으로, EPA와 DHA라는 두 가지 주요 성분이 핵심입니다.
반면, 크릴오일은 남극해의 크릴이라는 작은 갑각류에서 추출한 기름으로, 오메가3와 인지질, 아스타잔틴을 동시에 포함합니다.
성분 구조 차이
오메가3는 주로 ‘트라이글리세리드 형태’로 존재하는 반면, 크릴오일 속 오메가3는 ‘인지질 형태’로 들어 있습니다.
인지질은 우리 세포막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체내 흡수가 더 빠르고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체내 작용 방식
오메가3는 혈중 중성지방을 낮추고, 염증을 줄이며, 혈액 순환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크릴오일은 여기에 더해 아스타잔틴이라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노화 방지와 세포 보호 효과가 기대됩니다.
흡수율과 효과 비교
섭취한 영양소가 얼마나 잘 흡수되느냐는 건강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메가3 흡수율
일반적으로 오메가3는 기름 성분이라 위에서 소화효소와 담즙산의 도움을 받아야 흡수가 잘 됩니다.
따라서 기름기 있는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흡수율은 약 60~70%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크릴오일 흡수율
크릴오일은 인지질 형태라서 위에서 별도의 소화 과정을 덜 거쳐도 됩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흡수율(약 80~90%)을 보이며, 소화불량이나 트림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위장이 예민한 분들에게는 크릴오일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가격과 가성비 분석
소비자가 가장 크게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가격입니다.
같은 양의 오메가3 지방산(EPA+DHA)을 섭취한다고 가정했을 때, 크릴오일은 오메가3보다 평균 3~4배 비쌉니다.
| 구분 | 오메가3 | 크릴오일 |
|---|---|---|
| 주요 성분 | EPA, DHA | EPA, DHA + 인지질 + 아스타잔틴 |
| 흡수율 | 60~70% | 80~90% |
| 가격대 | 상대적으로 저렴 | 3~4배 비쌈 |
| 부작용 | 속쓰림, 비린내 트림 | 드묾, 하지만 알레르기 가능 |
즉, 가성비를 고려하면 오메가3가 유리하지만, 소화 흡수 편의성과 항산화 효과를 고려하면 크릴오일이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부작용 및 복용 시 주의사항
두 제품 모두 혈액 응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응고제(와파린 등)를 복용 중이거나 수술 예정이신 분들은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오메가3 부작용
대표적으로 위장 장애, 비린내 트림, 고용량 섭취 시 출혈 경향 증가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또한 간혹 소화불량이나 설사를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크릴오일 부작용
크릴은 갑각류에 속하기 때문에, 새우나 게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복용 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에서 속쓰림, 메스꺼움 같은 위장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합니다.
결론
오메가3와 크릴오일은 모두 건강에 유익한 보충제이지만, 선택 기준이 다릅니다.
비용 대비 효율을 원한다면 오메가3가 적합하고, 흡수율과 항산화 효과까지 고려한다면 크릴오일이 좋은 대안입니다.
무엇보다도 개인의 건강 상태, 알레르기 여부, 복용 중인 약물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Q&A
Q. 오메가3와 크릴오일을 같이 먹어도 되나요?
같이 복용해도 되지만, 성분이 겹치므로 굳이 동시에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Q. 임산부는 어떤 걸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임산부는 알레르기 위험이 없는 오메가3가 더 안전한 선택입니다.
Q. 크릴오일은 왜 가격이 비싼가요?
원료가 한정적이고, 인지질 형태라 가공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Q. 오메가3는 언제 먹는 게 흡수율이 좋은가요?
식사 후 기름기 있는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Q. 크릴오일의 아스타잔틴은 어떤 효과가 있나요?
강력한 항산화제로 세포 노화 억제와 피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건강 상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알레르기약 졸음 부작용 줄이는 법 (2025) (0) | 2025.09.04 |
|---|---|
| 숙취 해소제 성분 비교: 글루타치온·헛개·밀크시슬 (2025) (0) | 2025.09.04 |
| 철분제 복용 시간과 흡수율 높이는 음식·주의사항 (2025) (0) | 2025.09.03 |
| 타이레놀 vs 이부프로펜 비교: 상황별 효과와 선택 가이드 (2025) (0) | 2025.09.03 |
| 감기약 복용시 커피 마시면 부작용 생길까? (0) | 2025.09.01 |